
오늘 한 일
- 데일리 스크럼
- 스크럼 때 조원들과 대화를 재밌게 주고 받았던 기억이 있는데 내용이 기억이 안 난다... 오늘 아침에 있었던 일도 이제 기억이 나지 않는구나 ㅜㅜ
- 호눅스의 마스터 클래스
- 오늘 수업에서는 테스트라는 주제로 수업이 진행됐다. 먼저 Random 한 수를 테스트하는 예시를 보여주셨다. 먼저
Random
클래스의 의존성을 약하게 만들기 위해 mock 객체를 만들어 주입시켰다고 하는데 아직은 내용을 잘 모르겠다. 테스트가 잘 안 될 땐 메서드를 분리하고 의존성을 주입한다고 한다. - 다음으로
OOP
에 대한 수업을 해주셨다.OOP
는 유지보수를 잘하기 위해서 생긴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다.class
는 상태와 행동이 있다.- 상태보다 행동이 중요하다.
- 상태는 행동의 결과
- 전지전능한 객체가 있으면 안 된다.
캡상추다
: 캡슐화, 상속, 추상화, 다형성
- 오늘 수업에서는 테스트라는 주제로 수업이 진행됐다. 먼저 Random 한 수를 테스트하는 예시를 보여주셨다. 먼저
- 페어 프로그래밍
제이
덕분에 이번주 미션을 정말 즐겁게 할 수 있었다. 어제 3단계 구현을 하고 오늘은 리팩토링을 했다. 수업 때 호눅스의 이야기도 반영해보기 위해main
메서드에서 절차지향적으로 실행되던 코드를 좀 더 객제 지향적으로 수정해보려고 했다. 그러고 메서드의 역할을 살펴보면서 한 클래스가 한 가지의 여러 책임을 가지고 있을 때 한 가지의 책임만 질 수 있게 클래스를 분리해주었다. 오늘도 페어를 하면서 리팩토링 할 때 어떤 관점을 가지고 하면 좋을 지 배울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!
- TDD BDD
- 어제는 보면서도 집중이 잘 되지 않아서 다시 봤다. TDD가 좋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BDD는 어떤 건지 알 지 못했다. BDD는 행동 중심의 개발이라는 것이었다. 이미 작성된 요구사항이나 기획서가 있고, 그에 맞추어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게 된다면 시간에 대한 비용이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.
TDD
BDD
가 좋다는 건 알겠는데 정말 영상 속 내용과 같다. 좋은 건 알겠지만 로직 짜는 시간도 오래 걸리는데 라는 생각이 먼저 드는 것 같다.
TDD BDD 정리를 잘 해놓으신 블로그
- 어제는 보면서도 집중이 잘 되지 않아서 다시 봤다. TDD가 좋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BDD는 어떤 건지 알 지 못했다. BDD는 행동 중심의 개발이라는 것이었다. 이미 작성된 요구사항이나 기획서가 있고, 그에 맞추어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게 된다면 시간에 대한 비용이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.
- 백준 RGB
- 동적 프로그래밍..과 친해지고싶다.
- gradle
- 간단하게 gradle이 뭔지 좀 찾아봤다. 아래는 gradle document 와 잘 정리해놓은 블로그다.
- https://madplay.github.io/post/what-is-gradle
- https://docs.gradle.org/current/userguide/what_is_gradle.html
- https://www.simplilearn.com/tutorials/gradle-tutorial/what-is-gradle
- 일급 컬렉션
- 향로님 일급 컬렉션 포스팅을 봤다. 일급 컬렉션 일급 컬렉션 중요하다고 얘기를 들었지만
static
도 잘못 사용하고 있던터라 이제서야 제대로 읽어보았다. 일급 컬렉션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에서도 다루고 있다. 비즈니스에 종속적인 자료구조, 불변을 보장하고 상태와 행위를 한 곳에서 관리해주며 이름이 있는 컬렉션으로 가독성 면에서도 좋은 것 같다. 음..... 내용을 여러 번 읽어서 뭔가 알 것 같은데 내 언어로 이야기하고자 한다면 뭐다! 라고 아직 딱 정의 내릴 수 없는 상태인 것 같다... 일급 컬렉션이 필요해서 만들어 사용해보면 그 땐 이해하려나?
- 향로님 일급 컬렉션 포스팅을 봤다. 일급 컬렉션 일급 컬렉션 중요하다고 얘기를 들었지만
- static
- static 사용에 대해 전 날 페어를 하면서
제이
에게 물어보았었는데 감사하게도 자료를 찾아봐주셨다...!!! 이 글을 읽고 조금 더static
사용을 이해하게 된 것 같다.
- static 사용에 대해 전 날 페어를 하면서
- 객체지향 사실과 오해 6장
좋았던 점
- 오늘도
그라운드 룰
을 바탕으로제이
와 즐거운 페어를 할 수 있었다. - 그룹 리뷰 시간에 개발자스럽고 생산적인 대화가 오고가는 게 재미가 있다!!! 공부를 더 해서 정확한 정보를 조원들에게 공유하고싶다 😅
- 어제보다 집중을 더 하려고 노력했고 효과가 있었던 것 같다.
- 티스토리 마크다운 작성이 어색해서 못 쓰고 있었는데 이제 리스트에 동그라미도 예쁘게 잘 나오고 폰트도 수정을 해서 좋다.
- 객체지향 사실과 오해 6장을 드디어 봤다.. 한 챕터 남았다!
아쉬운 점
- 겉핥기 식으로 너무 여러 개 찍먹하고 있는 기분이다. 매일 TIL을 쓰고있긴하지만 한 가지 주제를 다뤄보면서 기술 포스팅도 하면 좀 더 깊이있는 지식을 습득할 수 있지 않을까
개선할 점
- 조원이나 스터디원에게 내가 아는 걸 설명하는 능력이 부족하다. 내가 제대로 알고 있는 게 아닐 확률이 높다. 설명할 수 있게끔 지식을 내 것으로 만들도록 방법을 생각해봐야겠다.